잠도 충분히 자는 것 같고 매 끼니마다 골고루 영양성분도 섭취하고 있는 것 같은데 왜 무기력증이나 답답함이 느껴지는 것일까요.
개운하지 않은 정신으로 일을 하니 재미도 느끼지 못하고 피로감만 쌓인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런 생활이 계속 반복되면 일상생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요 도대체 어떤 원인으로 이렇게 느끼게 되는 것일까요.
피로감 원인
일반적으로 충분한 수면시간은 7~8시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잠을 몇 시간 잤는지보다 더 중요한 것이 수면의 질입니다. 깊은 숙면을 취하지 못한 경우에는 잠을 장시간 잤다고 해도 일어날 때 개운하지 않습니다.
수면의 질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수면의 리듬입니다. 매일 다른 시간에 잠을 자게 되면 일정한 패턴으로 수면 리듬이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잠을 자도 피곤함을 느끼게 됩니다. 이런 밸런스가 깨지는 것만으로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잠을 자는 시간이 너무 부족한 경우에도 피로감을 느끼게 됩니다. 살이 찌고 싶지 않다면 특히 수면부족은 피해야 합니다.
평소 수분 섭취하는 습관이 없어서 몸에 수분이 부족한 경우에도 두통이나 피로감을 느끼게 됩니다. 수분을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신진대사가 높아지고 활동력이 좋아지게 됩니다.
하지만 부족한 수분은 신진대사가 떨어지면서 체내 기능도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강한 피로를 느끼거나 머리가 아픈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평소 식생활 습관은 어떤가요. 너무 불규칙하거나 과식을 하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세요. 너무 영양성분이 한쪽으로 치우치게 섭취하고 있는 경우 쉽게 피로를 느끼고 기력도 떨어지게 됩니다.
특히 과도하게 탄수화물만 섭취할 경우 칼로리가 오버되기도 하고, 급속도록 혈당이 상승하면서 인슐린을 대량으로 분비하기 때문에 춘곤증을 느끼면서 피로감도 함께 쌓이게 됩니다.
지나치게 카페인이 들어가 있는 커피나 녹차와 같은 음료를 섭취하거나 알코올을 마시게 되면 잠깐은 좋겠지만 장기적으로 몸의 피로도를 쌓이게 만듭니다.
하루 평균 어느 정도 운동을 하고 있습니까. 운동 부족은 불면증의 원인이 될 수도 있지만 신체 전반적인 기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수면의 질과 양이 좋게 하기 위해서라도 적당한 운동은 필요합니다.
1주일 동안 당신의 휴식을 위해서 사용하는 시간은 얼마나 되나요. 공부를 하는 학생이든 일하는 직장인이든 휴식은 필요합니다. 하지만 쉬지 않고 계속 공부나 일을 하게 되는 경우 스트레스가 쌓이게 되고 이는 곧 피로가 누적되게 만듭니다.
셀프 피로감 해소방법
그렇다면 이런 무기력증이나 답답함을 벗어나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우선 식사와 운동, 수면, 정신적인 휴식으로 개선시키거나 해소할 수 있습니다. 음식으로는 트립토판이 들어있는 식재료를 먹는 것이 좋은데 콩 제품, 유제품, 바나나 등이 있습니다.
당신에게 맞는 적당한 운동은 육체적인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건강에도 필요합니다. 평소 운동할 시간이 부족하다면 일상생활 속에서 스트레칭이나 계단, 걷기 등을 통해서 활동량을 만들면 됩니다.
잠을 자기 1~2시간 전에는 스마트폰을 하지 않도록 하고, 명상을 하면서 정신적으로 뇌가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자는 시간을 일정하게 하여 수면 리듬이 생길 수 있도록 하고, 하루 6시간 이상 잠을 잘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자기 전에 알코올 섭취를 하는 분이라면 당분간 금주를 실행해 보세요.
하지만 셀프로 이런 노력을 했는데도 전혀 개선이 되지 않고 부종이나 발열, 소변의 색깔 변화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면 바로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다른 질병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일반 내과로 가서 검사를 받아보거나 부종이나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내분비 내과 등에 가서 검사를 받아보세요.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에서 물절약해서 수도세 아끼는 방법 (0) | 2023.01.25 |
---|---|
먹는 탄산수 효능 청소 활용법 - 없다면 직접 탄산수만들기 (0) | 2023.01.20 |
간단한 주방 배수구 클리너 염소계 세정제 청소 방법 및 주의사항 (0) | 2022.12.31 |
정리 못하는 사람 특징과 수납정리함 등을 이용한 몇가지 요령 방법 (0) | 2022.12.25 |
이사날 1- 2개월 전에 이사업체나 짐 정리 등 해야 할 일 리스트 (0) | 2022.1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