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희망적금 소득세 요건 미충족? 이자소득세 부과
본문 바로가기
생활

청년희망적금 소득세 요건 미충족? 이자소득세 부과

by 0122333 2023. 4. 9.


청년희망적금 소득세는 적금의 이자 수익에 대한 세금을 말합니다. 최근에 은행으로부터 문자 과세특례 적용요건이 미충족 되었다는 문자를 받은 분들은 이자소득세를 부과하는다는 말이지요. 개인소득이 연 3600만 원 이하이거나 종합소득이 2600만 원 이하의 조건에 벗어난 분들이 문자를 받았을 경우가 높습니다.

 

청년희망적금 이자소득세 부과 안내 문자

 

청년희망적금 이자소득세 부과

청년희망적금의 소득요건은 가입일을 기준으로 직전 연도 총급여액이 3600만 원 이하, 종합소득금액이 2600만 원 이하인 분들이 가입할 수 있었습니다. 22년도에 가입하여 2024년 12월 31일까지 이자소득에 대해서 소득세를 부과하지 않습니다.  2022년도에 적금에 가입을 한 후 2023년도가 되었을 때 직전 연도는 2022년도가 됩니다.

 

청년희망적금 소득세 이자소득세 부과 요건
청년희망적금 신청 가능 소득 제한 요건

 

2022년도의 연말정산 이후 국세청에 개인 급여소득자의 소득이 확정되면서 은행마다 구체적인 금액이 조회가 되기 때문에 이런 문자를 발송하게 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022년도에 개인소득이 연 3600만 원이 넘었거나 종합소득이 2600만 원이 이상이 되었다면 청년희망적금 소득세를 부과하게 됩니다.

 

청년희망적금 이자

청년희망적금 이자는 은행마다 약간씩 다른데요, 본인이 주거래를 한 은행이라면 우대 금리로 최대 1% 더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약간의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기본 금리 5%를 가정하고 월 최대 납입액인 50만 원을 2년 동안 꾸준하게 납입했다고 가정하였을 때 받을 수 있는 대략적인 금액입니다.

 

처음 청년희망적금에 대해서 설명을 하였을 때는 일반 적금의 과세상품 이자를 연 9.31%를 준다는 가정하에 비교를 하였습니다. 똑같이 2년 동안 납입액은 1200만 원으로 동일하지만 만기 시에는 일반 적금의 은행이자와 이자소득세를 뺀 금액보다 더 많이 받을 수 있다고 예시를 들고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 이자 소득세부과 하더라도 저축장려금으로 만기시 이득 적금
청년희망적금 이자소득세 혜택 내용 - 나무위키

 

이번에 청년희망적금 소득세 부과가 된다고 문자를 받을 분들은 비과세가 아니라 이자소득세를 제외하고 받을 수 있습니다. 2년 동안 꾸준히 납부할 경우 저축장려금 36만 원은 받을 수 있으므로, 비록 이자소득세를 부과하더라도 일반적금의 연 5% 금리상품보다 만기 시 더 많이 받을 수 있으므로 만기까지 계속 납입을 하는 것이 이득입니다.

 

본인의 전년도 총급여액이나 종합소득 금액을 알고 싶다면 홈텍스에 들어가서 발급받아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무소득자 청년희망적금 소득세부과

가입 요건에서는 총 급여액과 종합소득액에 관한 요건만 있는데, 문자는 소득이 0원인 무소득세인 분들도 받은 경우도 있습니다. 처음 가입할 때부터 구체적인 요건이 있었던 것은 아니라서 소득이 없는 분들은 이자소득의 15.4%(이자소득세 14%+지방소득세 1.4%)가 소득세로서 자동공제를 하고 지급된다고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본인이 가입한 은행에 문의해 보세요.

 



댓글